전문상담교사 취득방법
전문상담교사는
중학교 시설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중등 정교사 자격과 동일한 자격입니다.
중등학교 시설에서 청소년들의
진로와 상담을 진행해주는
상담교사로 근무를 하게 되죠.
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교나 교육대학원 혹은
사범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을 거쳐야만
자격 발급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지금 설명하는
전문상담교사는 어떤 과정을
거쳐 준비를 할 수 있을까요?
위에 설명과 같이
대학교나 대학원에서 교직이수를 받고
전문상담교사 취득을 하게 되는데,
무엇을 먼저 해야 되냐라는 질문을
주시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 두 가지 과정 모두
입시 과정을 거쳐 입학을 해서
준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
입학을 할 수 있는지부터 보시면 됩니다.
대학교는 흔히 아는 것과 같이
정시 또는 수시로 신입학을 하는 방법
편입학으로 중간 입학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입학에는 조건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대학에 입학을 하기 위해선
그에 준하는 성적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합니다.
대학원도 마찬가지로,
입학전형이 성적과 면접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지원자격은
4년제 졸업자의 경우 가능합니다.
여기서 고민을 해 봐야 되는 점은
전문상담교사 취득방법으로는
어떤 과정이 효율적인가입니다.
제 기준으로 해서 이것저것 따져 보았을 때,
교육대학원에 입학을 하여 전문상담교사
취득을 준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유는 크게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취득하는 학력에 차이가 있다입니다.
대학교는 학사이고 대학원은 석사인 부분이죠.
그리고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대학교 입학보다 대학원 입학이
더 쉽습니다.
석사과정이라고 하여 정말 상위권자들만
입학을 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지방권에 있는 대학은 돈만 주면 대학원
입학이 가능할 만큼 입학 난이도가 낮습니다.
그리고 대학교에서는 전문상담교사
취득이 안 되는 대학이 더 많습니다.
취득이 안된다라는 것은
대학교에서 교직이수과정이
없는 것을 이야기해요.
심리학 전공은 개설이 안 되는
대학이 더 많다는 것이죠. 설령
교직이수가 가능한 대학을
입학한다고 하더라도
교직이수과정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상위권 성적을 유지해야 합니다.
교직이수가 가능한 대학교라
하더라도 성적이 좋지 않으면
교직이수과정을 할 수 없거든요.
이런 전반적인 내용들을 포함해서
기간적으로나 얻어지는 결과들이나
비교를 해 보아도 전문상담교사 취득은
교육대학원에서 준비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죠.
위 내용에서는 대부분
대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를
준비할 수 있는 방법들과 차이점 등을
주로 이야기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는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상담교사 취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 드릴게요.
대학교는 수능 성적이나
편입학 과정의 전형 준비가
입학에 대한 준비라고 한다면,
교육대학원 입학은
준비하는 것들이 조금 다릅니다.
일단, 대학원이기 때문에
4년제 졸업장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진학 전공과 동일한 전공의 4년제 졸업장이
있어야 교육대학원 진학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전문상담교사 취득을
희망하는 비전공자분의 경우에는
먼저, 4년제 심리학 전공
학위 취득을 준비해야 합니다.
심리학 전공학위는 온라인 학위제 도인
학점은행제를 통해 성적관리를 하면서
취득하는 방법으로 준비를 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교육대학원 면접에
대한 대비도 병행하여 준비를 하게 됩니다.
교육대학원마다 차이는 있지만,
보통 성적 50% 면접 50% 반영이 된다는
생각으로 둘 다 관리 준비를 하는 것이 좋으며,
성적관리는 보통 교육원 선택에 따라
쉽고 어렵고 가 나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정보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되고,
진행되는 면접이 합격에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성적은 어느정도 온라인 과정에서 담당자에게서
관리를 받아 성적을 받을 수 있지만,
면접의 경우 어영부영 준비를 한다면
점수가 폭락할 수 있기 때문에
전년도 면접자료 참고나 전공서적 독서를 통해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까지 전문상담교사 자격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았는데요.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질문 남겨주시길 바랍니다.